SOP / 논문 / 에세이

본 번역물은 토킹어바웃이 작업한 번역물이며, 저작권을 가지고 있습니다. 외부 유출을 금합니다.

SOP



인간은 광활한 우주에 대해 아는 것이 거의 없지만, 그것을 이해하기 위해 수학, 철학, 신학 등의 순수학문을 발전시켰다. 그렇다면 지구의 환경을 만드는 우리들은 사회가 복잡해질수록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결과적 현상에 대해 고민하는 것보다 근본적 원리들에 대한 질문을 해야하지 않을까? 나는 이런 생각을 바탕으로 학교에서의 건축 설계에 있어 근본적 원리에 대한 물음으로 시작해 그것에 대한 답을 찾아내는 과정으로 풀어왔다.

While mankind knows very little about the vast universe, we have developed many basic studies such as mathematics, philosophy, and theology to understand it better. So, shouldn’t we, who are responsible for creating the Earth’s environment, ask questions about fundamental principles rather than thinking about the resulting phenomena to solve various problems as our society becomes more and more complex? Based on this thought, I always tried to solve the questions I had while I learned architectural design at school by focusing on the fundamental principles.


나는 디지털 건축의 가능성을 실험하는 기획자가 되기 위해 대학원에 진학하려 한다. 그리고 MIT는 지금까지 자연의 원리를 탐구하고 새로운 발견을 위한 선구자적 역할을 해왔다. 나는 새로운 탐구를 통한 발견을 하는 사람들이 모여 역사를 써왔고, 앞으로도 그럴 것이라 믿는다. 당장에 상용화하여 쓸 수 없는 것이라 하더라도, 근본적 원리에 대한 학문적 실험은 기술적 또는 사회적 요구와 맞아떨어졌을 때 마침내 실재화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나는 사회와 기술이 급변하고 있는 현대사회에 속에서 디지털 방법론을 이용한 다양한 실험들을 기획하고 이 시대에 내 생각의 유산을 남길 것이다

The reason why I’m trying to go to graduate school is to become an organizer/planner who experiments the possibilities of digital architecture. And so far, MIT has historically been a pioneer in exploring the principles of nature and making new, groundbreaking discoveries. I always believed that people who make new discoveries through new explorations/experiments have changed the history of mankind, and will change history in the future, too. Why? Because even if such discoveries are not immediately available for commercial use, the academic experiments on fundamental principles will someday be realized when they meet with technical/social needs. Therefore, in this modern era where society and technology rapidly changes, I wish to use my imagination to look for new experiments and find new discoveries and leave a legacy of my own, which can be realized by mankind in the long run.

논문 (시)

이 글은 김춘수 마지막 시집인 『쉰한 편의 悲歌』를 분석하고 시집에 상재된 비애의 정서가 이미지화 되는 과정을 통해 비극의 공간으로 발견되는 세 가지 양상과 그 의미를 찾고자 한다. 첫 번째는 ‘길’이라는 시어가 김춘수의 역사·전기적인 진술을 통해서 상징적으로 발현될 때의 비극의 공간이다. 그는 비극적 공간을 인지하지만, 절망의 감정이나 극복의 태도로 인식하지 않는다. 오히려 시적 주체의 춤을 추거나 달리는 행위를 통해 비극의 공간을 활용한다. 비극의 공간인 ‘길’에서 벗어나지 않으며 비극을 겸허하게 수용하려는 태도를 지닌다. 기치棄置적 태도로 관조하며 독특한 비극의 장소를 구축하는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analyze Kim Chunsu's last collection of poems, 『Fifty-one Pieces of Elegy』 and to find three aspects and the meanings found as the tragic space through the process of imagification of the sentiment of sorrow published in the collection of poems. The first is the tragic space that takes place when a poetic diction 'road' is symbolically manifested through Kim Chunsu's historical and biographical statements. He recognizes the tragic space, however, he doesn’t recognize it as a feeling of despair or with an attitude of overcoming. He rather makes use of the tragic space through the poetic subject’s action of dancing or running. He does not get out of the ‘road’ which is the tragic space but holds his attitude to humbly accept the tragedy. While he remains as a spectator and leaves it as it is it with his attitude of negligence, he builds up a unique space of tragedy.

논문 (역사)

고려 중기(12세기∼13세기 중반)는 T자형 구들의 소멸과 전면구들의 출현이 가장 큰 특징이다. ‘ㄱ’자형·‘ㅡ’자형의 구들은 혼용되며 비율이 거의 비슷하다. 출토유물을 살펴보면 고려의 청자기술의 전성기를 이룬 시기로 비색청자, 상감청자 외에 다양한 기종의 청자가 주거지 내에 확인된다. 청자의 사용층이 확대되어 수혈주거지에서도 청자가 공반되는 사례가 증가한다. 도기의 경우 청자의 영향을 받은 도기 매병, 정병 등의 다양한 기종이 새롭게 제작되었다.

In the middle of Goryeo (mid-12th to mid-13th centuries), the disappearance of the T-shaped Gudeul and the advent of the entire Gudeul were the biggest features. The Gudeul of the ‘ㄱ’-shaped and ‘ㅡ’-shaped types were mixed to use and the ratio was almost similar. When the excavated relics were examined, Goryeo's celadon technology was in its heyday, and a variety of celadon was identified within the dwelling as well as green celadon and inlaid celadon. As the use of celadon expanded, the number of associated cases with celadon in the pit dwellings increased. In the case of earthenwares, various models such as Earthenware Meiping and Kundika, which were influenced by celadon, were newly produced.


후기(13세기 후반~14세기 말)는 상감청자의 쇠퇴기로 퇴화한 상감청자 문양이 확인되는데 문양이 간략화되며 도상화된다. 또 찍어내는 인화기법이 새롭게 등장한다. 난방시설은 고려 중기와 큰 변화 없이 ‘ㄱ’자형·‘ㅡ’자형의 구들이 혼용된다. 그러나 세부적으로 3열(3 line) 이상의 구들이 증가하여 전 시기보다 발전된 구들이 보편화되고 전면구들도 고려 후기에 지속하여 확인된다.

The late period (late 13th to late 14th century) was the period of decline of inlaid celadon, and degraded patterns of inlaid celadon were identified. Patterns were simplified and became iconography. In addition, a new printing technique to imprint emerged. The underfloor heating systems were mixed to use the ‘ㄱ’-shaped and ‘ㅡ’-shaped Gudeuls without any significant change from the mid-period of Goryeo. However, in detail, Gudeul with more than three lines increased, so more advanced Gudeul than the previous periods were generalized and the entire Guedeul were continuously identified in the late Goryeo as well.

논문 (사회 과학)

본 논문은 1922년 5월에 창간된 아세아공론을 연구 대상으로 한다. 이 잡지는 학지광 등의 유학생 잡지나 조선청년 같은 사회주의 매체와는 다른 위치를 점한다. 아세아공론은 내용과 형식 면에서 당대의 일본어 종합 잡지에 비견 될 만한 모습이었다. 아시아 각국의 유명 인사들을 필자로 섭외하여 광범위한 담론을 수용하고 있다는 점에서도 앞서 제시된 잡지들과 구별된다. 아세아공론사의 사장이자 잡지의 주필 역할을 맡은 유태경은 조선, 중국, 일본, 미국을 오가며 여러 학교와 직업을 거쳤다. 그러나 종잡을 수 없는 그의 삶 속에서도 언론 활동을 통한 저항적 담론실천의 의지는 일관적으로 감지된다.

The subject of research in this paper is THE ASIA REVIEW」, published in May 1922. This magazine occupied a different position from international student magazines such as Hajikwangor socialism media such as 󰡔THE YOUNG KOREA. THE ASIA REVIEWwas comparable to Japanese comprehensive magazines of that time in terms of content and form. It was distinguished from the magazines presented above in that it accepted a wide range of discussion by liaising public figures from various countries of Asia. Yoo Tae-kyung, the president and chief editor of THE ASIA REVIEW, traveled Korea, China, Japan, and the United States, going through many schools and occupations. In desultory his life, his willingness to practice resistive discussion was however consistently perceived through his activities of press media.





논문 초록 (기계 공학)

물류 운반 현장에서 사용자의 조작 의도에 따라 핸들에 가해지는 힘을 실시간 측정하여 고중량의 카트를 작은 힘으로 견인할 수 있는 시스템 및 제어 방법에 대해 제안한다.

This paper suggests a system/control method to tow a heavy cart more efficiently at the logistics site by measuring the force that is applied to the handle in real-time.


힘 센서를 이용한 견인력 측정 장치와 모터, 감속기, 휠 및 제어기가 일체화된 인휠 모터 구동 방식을 적용하여 용도 별 맞춤 설계 및 조립이 용이하고 기구 구조 및 배선을 단순화 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제안하고, 자동제어를 통한 무단변속, 급출발과 급정지를 방지하고 경사로에서 운전 가능한 기능을 확보하여 별도 레버나 스로틀 조작 없이 일반적인 카트와 같은 형태로 누구나 쉽게 접근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It will also propose a method to design a cart that can be easily customized and assembled while finding a way to simplify the cart’s structure and wiring by applying an in-wheel motor that integrated a force meter (which uses a force sensor), motor, reducer, wheel, and controller into a single device.

Moreover, the cart presented in this paper will prevent sudden starts/stops and unauthorized movements by adopting an automatic control system. Finally, it will also include a function that allows the driver to operate the cart on slopes without additional control of levers or throttles,making it more easy-to-use for many users.

에세이 (디자인 역사)

a that nature and humanity are one and the same and can be thought of or referenced as a single concept) 의 방향으로 흘러가야 한다고 믿는다. 그에 따르면, 기존의 디자인 역사는 다소 자본주의적 목적성을 띄고 사용자를 그 과정에서 단절시켰지만, 앞으로의 디자인 세계는Autonomous design을 통해 Collaborative 하고 Placed-based approach을 가져올 것이라 주장한다.

Arturo Escobar believes that design must flow in the direction of the Socionatural world (Socionature is the idea that nature and humanity are one and the same and can be thought of or referenced as a single concept). According to him, the history of the existing design has a somewhat capitalist purpose and discontinued users in the process, but he argues the future design world will bring a collaborative and placed-based approach through autonomous design.


그의 Ontological design approach에 대한 설명 중 나에게 유의미하게 다가왔던 점들은

첫 번째, 디자인이 발전 역사가 자본주의의 모델을 쫓아 왔다는 점이었다. 그는 기술과 시장중심성을 외치는 현대 디자인이 포스트 모더니즘의 진보적 Characteristic을 파괴했다고 말한다. 이는 생산적인 Production 과 Consumption 이라는 자본의 회전에만 집중할 뿐, 그 사이클에 개입되는 사회의 존재들, 회전 방식에 대해서는 등한시한다. 나 역시 학교에서 지향했던 socially oriented design, human-centered design의 가치가 여전히 상업적 디자인 field 에서는 가장 하위의 고려대상으로 밀려남을 확인했기에 이에 공감할 수 있었다.

Some of the explanations of his ontological design approach that bring significance to me are as follows;

First, the development history of design has been following the model of capitalism. He says that modern design, calling for technology and market-centricity, has destroyed the progressive characteristic of postmodernism. It focuses only on the capital turnover such as productive production and consumption, while it neglects the existence of society involved in the cycle and the way of turnover. I could agree with it since I’ve seen that the value of socially oriented design and human-centered design, which were aimed at school, is still being pushed to the lowest consideration in the commercial design field.

논문(장례 문화)

1900년대부터 시작된 근대의 장례 문화는 일본의 잔재가 남아 있음에도 바뀌지 않고 있고 대한민국에서 4차산업 개혁이 이루지지 않고 있는 몇안되는 산업임이 분명하다. 장례라는 특별한 상황속에서 소비자는 생애에서 장례를 경험하는 횟수가 적어 장례식장 이용 및 장례용품에 대한 관심과 이들을 소비할 경험이 적기 때문에, 장례용품 및 서비스의 가격과 품질에 대한 정보를 잘 알지 못하여 장례식장이나 상조회사로부터 부당 상술로 인한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The modern funeral/burial culture, which began in the 1900s, has not changed despite the influence of Japanese culture in the Korean society, and it is clear that it is one of the few industries that has not been influenced by the new wav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Due to the nature of ‘funerals,’ not many people experience ‘multiple’ funerals throughout their lives. Naturally, most of the consumer’s interest towards funeral services and funeral supplies remain low. As a result, the majority of people are not well informed of the general price and quality of funeral goods and services, which leads to them being ripped off by funeral homes funeral/cemetery service companies.


또 소비자는 가족을 잃은 상실감과 고인에 대한 예의 및 장례의식의 경건성으로 인해, 장례식장과 가격 등의 협상(흥정)을 꺼리는 경향이 커 장례용품의 합리적 소비가 어려운 상황이다. 또한 고인을 추모하고 모시는 문화에서 변질되어 소비형 문화가 정착되어 과시하는등의 이유로 필요 이상의 장례비용을 지출하고 있어 소비와 문화의 개선이 필요한 상황이다. 허나 기득권층(장례식장, 상조회사, 장례지도사, 장지회사)등의 개선의지가 없어 개선이 이루어 지고 있지 않다.

In addition, it is difficult for the consumers to make reasonable decisions regarding the price/quality of funeral services and supplies due to their reluctance to negotiate with funeral halls and companies, which is often caused by their rather unstable emotional state following the loss of their loved ones. Moreover, the current consumption-oriented culture, where many people tend to spend more than necessary for funerals just to ‘show off’ their social status, must be changed in the near future. However, such culture still remains in the mainstream Korean society due to lack of willingness to change (i.e., funeral halls, funeral service companies, funeral directors, cemetery companies, etc.)


따라서 조문객과 유가족이 사용하는 부고장의 디지털트렌스포메이션 혁신을 통하여 소비자 소비행태 변화를 통한 문화에 대한 개선이 이루어 질 수 있게 제안한다. 한국의 장례 산업에 온라인 기반의 비즈니스 적용은 제한적이었고, 플랫폼 비즈니스를 소비자가 이용하는 것은 불가하였다.

Therefore, I would like to propose a new method, the digital transformation innovation of obituaries that can be used by mourners and bereaved families, to improve the current funeral culture and consumption behavior. The use of online-based platforms/businesses in the Korean funeral industry was limited for the past few decades, and it was nearly impossible for individual consumers to utilize platform businesses.


이로인해 새로운 시스템의 적용보다는 장례를 하기위해 이용되고 있는 부고장을 디지털 및 플랫폼화하여 소비자와 조문객의 장례 문화 개선의 도구로 활용하고자 한다. 최근 플랫폼 비즈니스의 급속한 성장 과정에서 소비자들의 소비가치가 변화함에 따라 다양한 소비 형태가 나타나고 있기 때문에 여러가지 장례 문화 개선에 긍정적 도구가 될 수 있을 것이다.

So, instead of implementing a new system, I would like to propose a digital transformation & platformization of obituaries as a tool to improve the current funeral culture of Korea. Thanks to the rapid growth of platform businesses in recent years, various forms of consumption have appeared, and it can be utilized as a useful tool for improving the current funeral culture of Korea.


이와 같은 이유로 장례산업에 대한 소비가치와 소비가치에 대한 태도의 변화 효과로 현대판 장례 문화로 거듭날 수 있게 모바일 부고장의 혁신을 통한 장례 문화 개선을 위해 제안하였다.


For this reason, I decided to propose the innovation of the mobile obituary to improve the modern funeral culture along with the changes in consumption value regarding the funeral industry.


핵심용어 : 장례문화, 개선, 디지털트렌스포메이션, 혁신, 소비가치, 현대장례, 소비태도

Keywords : Funeral Culture, Improvement, Digital Transformation, Innovation, Consumption Value, Modern Funerals, Consumption Attitude






논문(자연 과학)

우리는 예상치도 못한 바이러스로 인해 세상이 멈추는 것 같은 경험을 했다. 바이러스의 기원은 여러 가설이 있을 뿐 정확하게 설명할 수 없지만, 분명한 것은 이번 코로나 바이러스 같은 경우 천산갑과 같은 특정 동물을 숙주로 삼아야 하는 바이러스가 인간이 그 동물을 비위생적인 환경에서 도축하고 섭취함을 반복하는 과정에서 변이를 일으켜 인간 역시 숙주로 삼아 전염성을 일으키게 된 감염병이라 추정 되어진다. 변이는 본래 생명체가 변화하는 환경에 적응하고 살아남기 위한 진화의 과정에서 일어나는 아주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그러나 인간의 개입이 원인이 되어 나타나는 부자연스러운 변이는 이처럼 예측할 수 없고 통제할 수 없는 방향으로 진화한다.

Due to the unexpected pandemic, we are going through an experience where the world seems to completely stop in an instant. The origin of the virus cannot be explained accurately at this moment, but what is clear is that the COVID-19 is a highly infectious disease caused by a mutation that has occurred during the process of slaughtering & consuming specific animals in unsanitary conditions. Mutation (Metamorphosis) is originally a very natural phenomenon that occurs during the process of evolution so that the creatures can survive and adapt to the rapidly changing environment. However, ‘unnatural’ mutations that are caused by human intervention often result in an unexpected evolution process that is unpredictable and uncontrollable.

인간 역시 자연의 일부이지만 어느 순간부터 인간은 인간과 인간이 아닌 동물을 철저하게 구분하고 오로지 인류의 편의를 위한 환경 개발을 하였다. 인간은 엄청난 넓이의 자연 환경을 훼손하고, 그 환경에 속해 있던 인간 외 수 많은 동물들은 도축 되어 지거나, 인간의 안위를 위해 설계되는 수많은 실험에 도구처럼 이용 되어지고, 인간의 이익을 침범하지 않는 선에서 새로운 서식지를 찾아 이주와 적응을 반복하여야 했다. 한 때 그들의 서식지 였던 곳에는 수 많은 콘크리트 건물이 세워졌다. 플라스틱, 비닐 등의 인간이 개발한 물질들은 바다와 육지를 구분없이 떠돌아 다니며 지속적인 오염을 일으킨다. 그리고 핵실험을 진행하거나 원자력 발전소를 개발한 후 완벽하게 통제하지 못한 결과로 인해 누출된 많은 양의 방사능 물질들은 이미 충분하지 않은 남은 자연 마저 생명체가 거주하기에 부적합한 땅으로 변화시키고 있다. 이와 같은 상황을 보았을 때, 앞서 말했듯 자연적인 것에 무분별한 인위적인 개입이 예측과 통제가 불가능한 변이를 초래한다면, 인간은 앞으로도 이러한 부자연스러운 변이로 인해 마주하게 될 부정적이고 불확실한 상황으로부터 자유로워질 수 없음을 쉽게 예측할 수 있다. 더 늦기 전에 인간이 변화의 필요성을 인지하지 못한다면 앞으로 그것이 가져올 결과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 문제를 파악하고 현실을 직시하여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수 많은 사람들이 의식하고 함께 고민해 보는 시간의 필요성을 실감하여 전시를 기획하였다.

While humans are also a part of nature, from some point on, we have distinguished ourselves from other animals and started to develop the environment only for the convenience of mankind. Humans have brutally sacrificed the natural environment, and the animals who lived in nature have been slaughtered or used as a tool in numerous experiments and projects that was specifically designed for the convenience and safety of mankind. Countless concrete buildings were built in areas that were once their habitat. Materials developed by mankind, such as plastic, vinyl, etc., started to travel through the sea and land without any limitation, causing continuous pollution. Large amounts of radioactive material were leaked as a result of our lack of caution after nuclear experiments and development of nuclear power plants, transforming the already mere amount of remaining natural resources/land into polluted, corrupt areas where no creature can live anymore. Given what we have done to this planet during the past few decades, it is quite easy to predict that humans will not be free from the negative and uncertain situations caused by such uncontrollable, unpredictable, and unnatural mutations, which are heavily due to the reckless artificial interventions in nature that we (mankind) have made. This exhibition has been planned to deliver the message that now is the time where we humans recognize the need for change before it is too late, that now is the time for us to be aware of the consequences that we might face in the future if we do not change the direction that we are heading.


전시는 폐장을 앞 둔 동물원에서 개최된다. 최근 코로나에 의한 재정적인 문제로 기본적인 관리 조차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동물원에서 수 많은 동물들이 죽어 나가고 있다는 이슈를 접했다. 동물원은 인간 중심적 관점에서 동물들이 살 수 있는 최소한의 생태 환경만이 조작되어진 인위적인 공간이며 이는 인간이 나아가야 하는 앞으로의 방향성과 어울리지 않는다. 때문에 죽은 동물들의 자리를 다른 새로운 동물들이 채우는 대신 인간의 이기심으로 인해 변이된 자연적 생물의 모습을 한 작품들의 전시를 대안으로 제안함으로써 동물 대신 작품을 전시하는 이유 및 필요성을 합리적으로 이해시키며 동물원의 본래 목적이 상실과 다른 친환경적인 대체의 필요성을 주장한다.

The exhibition will be held at a zoo that is about to be shut down. Recently, we have encountered an issue that countless animals are dying in zoos that have been abandoned due to financial problems caused by the COVID-19 pandemic. A zoo is an artificial space where only the minimum ecological environment required for the survival of animals are established from a human-centered perspective, and it is a space that DOES NOT match the direction that we must take in the future. Therefore, instead of replacing dead animals with other ‘new’ animals, the exhibition shows natural creatures ‘mutated’ due to the selfishness and recklessness of mankind to make the viewers understand the reason why we must change, and emphasize the importance of an eco-friendly approach.